사용자 삽입 이미지

 최근 헌법재판소가 인터넷 실명제에 관해 위헌을 결정하고, 관련 업계가 인터넷 서비스 사업자의 자율 규제 방향을 고민하고 있는 가운데, 소셜댓글 서비스를 통해 인터넷 실명제의 대안으로 떠오른 사회적 본인확인제를 주도하고 개인 정보 보호 및 표현의 자유 의지 확산에 일조하였던 (주)픽플 커뮤니케이션즈가 최근 관련 성명서를 공개하면서, 업계에 일고 있는 자율 규제 움직임에 대한 지지 의사를 표명하면서도 그 역기능을 제한하고 순기능을 강화하기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는 뜻을 밝혀 주목되고 있다.


다음은 (주)픽플 커뮤니케이션즈가 14일 공개한 "인터넷 실명제 위헌 결정 이후의 자율 규제 강화에 대한 성명서"의 전문이다.


하나, 픽플 커뮤니케이션즈는 2012년 8월 헌법재판소가 내린 인터넷 실명제 위헌 결정에 대하여 그 취지를 공감하며 헌법재판소의 결정을 존중하는 바이다.


하나. 픽플 커뮤니케이션즈는 이용자의 소중한 정보(아이디와 이름)를 다루는 주요 커뮤니케이션 서비스 사업자로서, 이용자들의 개인정보가 외부로 공개되거나 사생활이 침해되지 않도록 원천 방지하기 위하여 앞으로도 더욱 적극적인 노력을 기울일 것이다.


하나. 픽플 커뮤니케이션즈는 언론 및 공공기관과 기업에서 이용자들의 주요 커뮤니케이션 서비스 수단을 제공하고 있는 주요 사업자로서, 뉴스와 기업/공공기관에서 작성되고 있는 누리꾼들의 의견에 대한 표현의 자유가 앞으로도 끊임없이 보장되도록 적극적인 노력을 기울일 것을 다시 한 번 다짐하는 바이다.


하나. 그러나 소셜댓글 서비스를 통해 이른바 사회적 복인확인제를 주도해온 혁신 사업자로서, 인터넷 실명제의 위헌결정과 자율규제 방침에 대하여 그로 인한 인터넷 이용자들의 무분별한 익명성 확대를 지지하는 것은 아니라는 점을 우선 밝힌다.


하나. 픽플 커뮤니케이션즈가 생각하는 바, 소통과 참여, 개방이라는 SNS 시대의 화두는 인터넷 실명제의 위헌 결정을
가속화하는데 일조했지만, 무분별한 익명성 강화는 소통과 참여, 개방을 위한 업계의 노력과 누리꾼들의 바램에 배치될 수 있다고 생각하는 바이다.


하나. 픽플커뮤니케이션즈는 SNS 계정을 통해서 이용자들이 자발적으로 공개한 개인의 프로필 정보의 열람과 활용을 돕고 이에 기반한 이용자간 공개 소통을 장려함으로써, 최근의 자율 규제 움직임에 대비하여 누리꾼들의 서비스 이용 투명성을 더욱 강화해, 악성 댓글 및 사이버 테러등 자율 규제의 폐해가 나타나지 않도록 꾸준히 노력할 것이다.


하나. 픽플커뮤니케이션즈는 앞으로도 이용자 개인의 권리와 자유를 보장하고 사회의 공공이익을 실현해나가는 것을 본 기업의 의무이자 사명으로 생각하는 바, 보다 나은 SNS 및 커뮤니케이션 서비스를 만들어나갈 수 있도록 노력할 것이다.


한편, 픽플 커뮤니케이션즈는 주요 언론 및 공공기관, 기업에 소셜댓글 서비스인 '티토크'(http://solution.ttalk.co.kr)를 제공하면서 사회의 다양한 목소리를 포용, 통합하는 하이브리드적 접근방식을 통하여 관련 패턴을 분석하고 이를 토대로 스팸 및 악성 댓글을 원천 차단하는 기술을 개발하여 적극 활용 중에 있으며, 제한적 본인확인제의 위헌 결정 이후, 민간 차원에서의 자율규제 방향성 설정이 화두가 되고 있는 가운데, 지난 13일에는 한국인터넷자율정책기구(KISO·정책위원장 이해완)가 서울 대한상공회의소에서 '인터넷 본인확인제 위헌 결정 이후의 자율규제 방향성 모색'에 대한 세미나를 개최하여 인터넷서비스사업자와 이용자 등 민간차원에서의 자율규제 방향과 대책에 대해서 살피는 토론의 자리를 가졌었다.

전자신문 온라인뉴스팀
2012/09/14 12:43 2012/09/14 12:43

트랙백 주소 :: 이 글에는 트랙백을 보낼 수 없습니다

트랙백 RSS :: http://pickple.com/blog/rss/trackback/159

트랙백 ATOM :: http://pickple.com/blog/atom/trackback/159

댓글을 달아 주세요

댓글 RSS 주소 : http://pickple.com/blog/rss/comment/159
댓글 ATOM 주소 : http://pickple.com/blog/atom/comment/159